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21)
관형어, 부사어, 독립어 관형어, 부사어, 독립어 문장 성분 문장 성분이란 문장 안에서 일정한 문법적 기능을 하는 요소입니다. 국어의 문장 성분은 7가지로 주어, 서술어, 목적어, 보어, 관형어, 부사어, 독립어가 있습니다. 관형어 관형어는 체언을 수식하는 문장 성분입니다. 수식이란 뒤에 오는 단어의 뜻을 더 분명하게 나타내거나 한정하는 것을 말하는데, 문장에서 '어떠한'의 형태로 나타납니다. 미란이가 새 가방을 샀다. 영미가 사과를 세 개나 먹었다. 이 옷이 마음에 든다. 이것은 동수의 책이다. 시골의 공기는 맑다. 관형어는 위의 '새', '세', '이'와 같이 관형사로 실현되거나 '동수의', '시골의'와 같이 체언에 관형격 조사 '의'가 결합해 실현됩니다. 위의 관형어 '새, 세, 이, 동수의, 시골의'는 뒤에 오는 체언인 ..
주어, 서술어, 목적어, 보어(문장 성분) 주어, 서술어, 목적어, 보어(문장의 주성분) 문장 성분 문장 성분이란 문장 안에서 일정한 문법적 기능을 하는 요소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문장 성분은 어절 단위로 구분되지만, 둘 이상의 어절이 모여서 이루어진 구나 절이 하나의 문장 성분으로 쓰이기도 합니다. 문장 성분의 종류 문장 성분에는 문장의 골격이 되는 주성분과 주성분의 내용을 수식하는 부속 성분, 다른 문장 성분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독립 성분이 있습니다. 문장 성분은 일곱 가지로 주성분에는 주어, 서술어, 목적어, 보어가 있으며, 부속 성분에는 관형어, 부사어, 독립 성분에는 독립어가 있습니다. 주어와 서술어 국어 문장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기본 골격을 지니고 있습니다. 문장의 기본 구조 무엇이 어찌한다. => 말이 달린다. / 꼬마가 ..
구개음화 구개음화 구개음화 치조음 ㄷ, ㅌ이 모음 '이(히)'나 이중모음 '야, 여, 요, 유'를 만나 구개음 ㅈ, ㅊ으로 변하는 현상 ㄷ, ㅌ + ㅣ, ㅣ[j] (이, 야, 여, 요, 유) -> ㅈ, ㅊ 구개음화는 음절의 끝에 오는 'ㄷ, ㅌ'(치조음)이 모음 'ㅣ'나 반모음'ㅣ[j]'로 시작하는 형식형태소를 만나면 구개음(센입천장소리)인 'ㅈ, ㅊ'으로 변하는 현상입니다. 치조음(잇몸소리)이란 자음이 발음될 때 혀끝과 윗잇몸에서 나는 소리이며, 구개음(센입천장소리)이란 앞혓바닥과 센입천장에서 나는 소리를 말합니다. 모음 'ㅣ'나 반모음'ㅣ[j]'로 시작하는 형식형태소에는 '이, 히, 야, 여, 요, 유'가 있습니다. 구개음화는 발음의 편의성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으로, 이는 'ㅣ'나 반모음'ㅣ'가 구개음 근처에..
고유 명사 & 의존 명사 외 명사 명사는 사람이나 사물 등의 구체적인 이름을 나타내는 단어입니다. 명사는 사용 범위, 자립성 유무, 감정 표현 능력 유무, 손으로 만질 수 있느냐의 여부에 따라 다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고유 명사 / 보통 명사 국어의 명사는 사용 범위(지시 대상의 유일성 여부)에 따라 고유 명사와 보통 명사로 나뉘며, 특정한 사물이나 사람을 다른 것들과 구별하여 부르기 위해 붙인 이름을 고유 명사라고 합니다. 일반적인 사람의 이름, 지역명, 산이나 강의 이름, 회사명, 나무나 꽃 이름, 과자 이름 등이 고유명사로 지시 대상이 유일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고유 명사의 (예) '김해수', '강동원', '서울', '부산', '설악산', '한라산', '농심', '오뚜기', '소나무', '진달래', '빼빼로', '레모나' ..
품사의 종류 / 국어 품사 9가지 품사의 종류 / 국어 품사 9가지 품사 품사란 단어들을 문법적 성질이 공통된 것끼리 모아 갈래 지어 놓은 것을 말합니다. 국어의 품사 분류 기준은 형태, 기능, 의미 세 가지가 있으며, 총 아홉 가지 품사로 구분됩니다. 국어 품사 분류 기준 1. 형태 국어의 단어는 문장 속에서 형태가 변하는지, 변하지 않는지의 여부에 따라 '가변어'와 '불변어'로 구분됩니다. 가변어는 '먹다', '먹고', '먹니' 등과 같이 문장 속에서 형태가 변하는 말로 동사, 형용사, 서술격 조사 '이다'가 있습니다. 불변어는 '산', '바다', '꽃', '그림', '매우', '첫째' 등과 같이 문장 속에서 형태가 변하지 않는 말로 명사, 대명사, 수사, 관형사, 부사, 감탄사, 조사가 있습니다. 2. 기능 국어의 단어는 문장 속에..
한번 한 번 띄어쓰기 '한번'과 '한 번'의 띄어쓰기 한번'은 흔히 '밥 한번 먹자'와 같은 경우에 사용되는데, 이때 쓰인 '한번'은 '한'과 '번'이 합쳐져 명사가 된 말로 '기회 있는 어떤 때에'를 의미하므로 붙여 써야 합니다. 하지만 '오늘은 알람이 한 번(두 번 or 세 번) 울렸을 때 일어났다.'와 같은 경우에는 수량을 나타내는 관형사인 '한'이 횟수를 나타내는 의존명사 '번'과 함께 사용되고 있으므로 두 단어는 띄어 써야 합니다. '한번'과 '한 번'의 띄어쓰기와 관련해 이 둘을 구분하는 쉬운 방법은 '한번'이 횟수를 의미하느냐 그렇지 않느냐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한번'을 '두 번', '세 번'으로 바꾸어도 뜻이 통하면 이때의 '번은 횟수의 의미를 가지므로 '한 번'으로 띄어쓰고, 그 반대의 경우에는 명사의 의미..
소비자 보호원(한국소비자원) / 소비자 고발센터 한국소비자원(소비자 보호원) / 소비자 고발센터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의 권익 증진을 위해 국가에서 설립한 공공기관입니다. 한국소비자원의 이전 명칭은 '한국소비자보호원'으로 2007년 소비자기본법에 의해 현재의 기관명으로 변경되었습니다. 간혹 비용을 지불하고 물품을 구입하거나 여러 서비스를 이용할 때 기대와는 다르게 불편을 겪거나 피해를 입는 경우가 있는데요. 부당한 피해를 입고도 사업자와 원만히 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때에는 한국소비자원의 피해구제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한국소비자원의 피해구제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피해구제 절차 ① 소비자상담 ② 피해구제 신청(합의권고) ③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 조정 ① 소비자상담 한국소비자원 1372 소비자상담 센터에 상담 신청하기 : 전화, 인터넷, 방문 등 한국..
청동기 시대 청동기 시대 청동기 시대는 기원전 2000년경 ~ 기원전 1500년경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청동기 시대에는 사냥이나 고기잡이, 채집, 농사로 식량을 마련했는데, 신석기 시대보다 재배하는 곡식이 더욱 다양해졌습니다. 또 농업 기술이 발달해 일부 저습지에서는 벼농사를 짓기 시작했으며, 곡식의 생산량이 늘면서 잉여분이 생겨났습니다. 또 전 시대와는 다르게 자신의 땅에서 농사 지은 것은 자신의 소유가 되었기 때문에 빈부의 차가 발생하고 빈부의 차는 계급을 형성하게 되었습니다.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유물로는 비파형 동검이나 청동거울, 청동 장식품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청동기로 만든 물건은 비쌌기 때문에 부자들만이 청동기 제품을 소유할 수 있었습니다. 또 빈부의 차에 따라 의복도 달랐는데, 평범한 사람들은 삼베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