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21)
다크서클 없애는 법 다크서클 없애는 법 다크서클로 눈 밑이 어두우면 피곤해 보이고 더 나이가 들어 보이는데요. 다크서클은 선천적으로 생길 수도 있지만 자외선이나 노화, 피로, 알레르기, 생활 습관 등에 의해 생기기도 합니다. 오늘은 다크서클 없애는 방법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피로 누적이나 수면 부족으로 인한 다크서클 피로하거나 수면시간이 부족하면 혈액순환이 잘 되지 않아 눈 밑의 정맥혈관에 혈액이 모이면서 붉거나 푸르게 보이는 다크서클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적절한 휴식을 취하는 것이 좋은데, 특히 눈을 피로하게 하는 컴퓨터나 휴대폰 등의 사용을 줄이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 잠을 충분히 자고, 규칙적인 식사와 함께 비타민, 무기질이 풍부한 식품을 꾸준히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눈 주위를 마사지하거나 온찜질,..
유당불내증 증상 & 치료 유당불내증 증상 & 치료 우유는 단백질, 칼슘, 지방, 비타민, 무기질 등 인체에 필요한 영양소가 풍부한 건강식품입니다. 하지만 우유를 마시면 속이 더부룩하거나 꾸르륵거리는 소리가 나고 복통과 설사가 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우유 속 유당 성분 때문인데요. 유당(젖당)은 포유류의 젖 속에 존재하는 당분으로 갈락토스와 포도당으로 결합되어 있는데, 몸속에서 락타아제라는 효소에 의해 분해됩니다. 유당 분해 효소인 락타아제는 유아기에는 충분히 분비되지만 2세 이후로 분비가 감소되기 시작해 보통 성인기에는 유아기에 비해 약 5~10% 정도만 분비됩니다. 몸속에 락타아제가 부족하면 우유를 섭취했을 때, 유당이 소장에서 잘 분해되지 않아 더부룩함, 복부 팽만감을 유발하고, 대장으로 내려가서는 유당이 수분을 끌어들..
상대 높임법 & 객체/주체 높임법 상대 높임법 & 객체/주체 높임법 국어의 높임 표현 국어의 높임법은 높임의 대상이 누구인지에 따라 세 가지로 구분되어 실현됩니다. 높이는 대상이 문장의 주어일 경우 주체 높임법이 사용되며, 문장의 목적어나 부사어일 경우 객체 높임법이 사용됩니다. 또 대화하는 상대방, 즉 듣는 이를 높일 경우에는 상대 높임법이 사용됩니다. 주체 높임법 주체 높임법은 문장의 주체인 주어를 높이는 방법입니다. 주체 높임법은 주격조사 '께서', 접미사 '-님', 높임 선어말 어미 '-(으)시-', 주체 높임 특수 어휘에 의해 실현됩니다. 선생님께서 책을 읽으신다. 어머님께서는 저녁을 준비하신다. 할머니께서 용돈을 주셨다. 위의 문장에서 주어인 '선생님, 어머님, 할머니'는 높임의 대상이므로, 주어에 주격조사 '께서'가 결합되고..
국순전 해설(가전체의 효시) 가전체 문학 가전체는 계세징인(세상 사람들을 경계하고 징벌함)을 목적으로 사물을 역사적 인물처럼 의인화시켜 그 가계와 생애 및 개인적 성품, 공과를 기록한 의인체 문학 갈래입니다. 고려 중기 이후 등장한 신진사대부들에 의해 창작된 가전체는 구전으로 전해지던 설화와 달리 개인의 창의성이 가미된 허구적 작품이라는 점에서 소설 문학 양식과 근접해 있습니다. 가전체라는 새로운 갈래의 등장은 신진사대부들의 사상적 특질과 관련되는데, 이들은 기존의 귀족들과 달리 세상과 인간 생활의 실제적 사물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들은 사물에 대한 합리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사물과 관념을 긴밀하게 통합해 자신의 생각을 드러내려 했습니다. 가전체는 구체적 사물의 특성을 바탕으로 이에 대한 이념적 해석을 드러낸다는 점에서 교술..
합성어(통사적/비통사적 합성어) 합성어(통사적/비통사적 합성어) 단어는 자립해 홀로 쓰일 수 있는 말이나 자립하는 말에 붙어 쉽게 분리되는 말입니다. 단어에서 실질적인 의미를 지닌 부분을 어근이라 하며, 어근이 둘 이상 결합해 만들어진 단어를 합성어라고 합니다. 합성어 어근이 하나인 단일어 : 바람, 산, 강, 해, 책, 사람 어근이 둘 이상인 합성어 : 밤낮 : 밤(어근) + 낮(어근) 뛰놀다 : 뛰다(어근) + 놀다(어근) 합성어는 어근들의 의미적 결합 방식에 따라 대등 합성어, 종속 합성어, 융합 합성어로 구분됩니다. 대등 합성어 논밭, 오고가다, 높푸르다 대등 합성어란 어근과 어근이 대등한 관계로 결합되어 있는 합성어입니다. '논밭, 오고가다, 높푸르다'는 '논과 밭', '오다 그리고 가다', '높다 그리고 푸르다'의 의미적 결..
파생어(접두사/접미사) 파생어(접두사/접미사) 단어 단어란 자립할 수 있는 말이나 자립할 수 있는 형태소에 붙어서 쉽게 분리될 수 있는 말입니다. 단일어와 복합어 단일어 산, 나무, 새, 하늘, 꽃, 나비, 구름, 바다 복합어 풋감, 맨손, 짓누르다, 책꽂이, 볶음밥, 뛰놀다, 오고가다 단어의 실질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부분을 어근이라 하며, 하나의 어근으로 이루어진 단어를 단일어라고 합니다. 어근에 접사가 붙거나 둘 이상의 어근이 결합하면 새로운 단어가 만들어지는데, 이렇게 만들어진 단어를 복합어라고 합니다. 파생어 파생어란 어근의 앞이나 뒤에 의미를 더해주는 접사가 결합해 만들어진 단어입니다. 어근 앞에 붙는 접사를 접두사라고 하며, 어근 뒤에 붙는 접사를 접미사라고 합니다. 접두 파생어 풋- : 풋사과, 풋나물, 풋과일, ..
명사절, 관형절, 부사절을 안은 문장 명사절, 관형절, 부사절, 서술절, 인용절을 안은 문장 홑문장과 겹문장 문장이란 생각이나 감정을 완결된 내용으로 표현하는 최소한의 단위입니다. 문장은 주어와 서술어로 구성되며, 주어와 서술어의 개수에 따라 홑문장과 겹문장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홑문장은 주어와 서술어의 관계가 한 번 나타나는 문장이며, 겹문장은 주어와 서술어의 관계가 두 번 이상 나타나는 문장입니다. 겹문장에는 안은 문장과 이어진 문장이 있습니다. 안은 문장과 안긴 문장 안은 문장이란 문장 안에 다른 홑문장을 안고 있는 문장을 말하며, 안긴 문장이란 다른 문장 안에 한 성분으로 안겨 있는 문장을 말합니다. 이때 안긴 문장을 절이라고 하는데, 절이란 주어와 서술어를 갖추고 있으나 독립해서 쓰이지 못하고 다른 문장의 한 성분으로 쓰이는 단위..
큰따옴표와 작은따옴표의 차이 외 큰따옴표와 작은따옴표의 차이 외 따옴표 1. 큰따옴표( " " ), 겹낫표( 『 』 ) 문장을 가로로 쓸 때는 큰따옴표를 쓰고, 세로로 쓸 때는 겹낫표를 씁니다. "너 '웨스트 월드' 봤니?" "난 시즌2까지 봤어." 강아지가 "컹컹" 짖길래 나가보니. 그가 피자를 들고 서 있더라. 큰따옴표, 겹낫표는 글 가운데 직접 대화를 표시할 때나 남의 글이나 말을 직접 인용할 때 씁니다. 2. 작은따옴표( ' ' ), 낫표( 「 」 ) 문장을 가로로 쓸 때는 작은따옴표를 쓰고, 세로로 쓸 때는 낫표를 씁니다. "잘 찾아봐. '등장 밑이 어둡다'고 하잖아." '지금 야식을 주문해서 먹으면, 내일 아침 얼굴이 퉁퉁 붓겠지.' 작은따옴표, 낫표는 인용한 말 가운데 다시 인용한 말이 들어 있거나, 마음속으로 한 말을 적..